본문 바로가기

지식의 창고/영화 이야기 러브 레터의 마지막 대사

by 서울나기 2019. 6. 20.

러브 레터 (Love Letter, 1995)

대학교 1학년 때는 한참 영화에 미처 살았습니다. 그림을 그리고 싶었지만, 뜻에 맞지 않게 공대에 진학했기 때문에 그 불만을 영화로 풀었던 것 같아요. 입학하자마자 학교 도서관에서 아르바이트를 했기 때문에 책과 영화에 대한 풍부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던 이유도 있었죠.

그때 이와이 슌지의 이 영화 러브 레터를 처음 봤습니다. 도서관 사서 알바를 하던 당시의 제 상황과 비슷해서 더 빠져들어 봤던 기억이 있네요. 그동안 수없이 이야기를 들어왔지만 여주인공이 1인 2역을 했다는 것도 몰랐고,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류의 플롯 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보다가 충격을 받았습니다. 레베도스의 영화 OST와 함께 서정의 끝을 보여주는 영상들은 이 영화를 사랑하기에 충분한 이유였습니다. 당장 이와이 월드에 입성해 그의 열렬한 팬이 되었습니다.

'쏘아 올린 불꽃, 옆에서 볼까? 위에서 볼까?'부터 최근작 '립반윙클의 신부'까지 대부분의 작품을 섭렵하게 되는데, 이와이 슌지 영화들은 재미있다로 끝나는 게 아니라 만들고 싶다까지 생각이 미치게 하는 것 같더라구요. 군대 가기 전에 친구들과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 영향을 받은 단편 영화도 찍었던 기억이 있네요. 아직 편집을 안 한 상태로 서랍 속에.. 고이 잠들어 있습니다. (미안하다 친구들아.. ㅋㅋ)

각설하고. 이 영화의 마지막 대사는 “가슴이 아파 이 편지는 차마 보내지 못하겠어요.”입니다. 한국의 신파극 정서에 맞는 최선의 번역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원래 대사는 그게 아니었다는 것을 소설을 읽고 알게 되었습니다.

원래 대사는 이렇습니다.

やっぱり てれくさくて この 手紙は 出せません
역시 쑥쓰러워서(창피해서) 이 편지는 보내지 못하겠습니다.

'창피해서'가 번역가의 손을 거쳐 '가슴이 아파서'가 돼버린 거죠. 이 번역은 영화 전체에 대한 기억을 다르게 만들었습니다. 한국에 재개봉했을 때 극장에서 본 러브 레터는 수없이 봐오던 그 러브 레터가 아니었습니다. 작은 모니터로 볼 때는 느낄수 없었던 보다 섬세한 감정들이 풍부하게 다가왔습니다. 그래서 영화는 극장에서 봐야 하나 봅니다. 러브 레터가 언젠가 다시 재개봉을 하면 꼭 극장에서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재개봉 버전은 원본대로 '쑥쓰러워서'로 번역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게 무슨 말인지 한 번에 느껴졌던 겁니다. 그동안은 남자 이츠키가 자신을 좋아했다는 것을 너무 늦게 깨달아서 '가슴이 아프다'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영화가 개봉한 지 20년 만에 새로운 의미를 알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녀가 잊고 지냈던 것은, 그에 대한 자신의 감정이었던 거죠.

약혼녀가 마지막에 모든 편지를 돌려준 것도 그때서야 이해가 됬습니다. 그녀 또한 여자 이츠키의 기억 어딘가에 꼭꼭 숨겨진 어린 시절의 감정을 알아챘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편지를 돌려받은 여자 이츠키는 그것을 주머니에 숨기려고 했지만 숨기지 못한 체 영화는 끝납니다.


제가 도서관 알바를 했을 당시엔 도서 대출 카드에서 바코드로 전환하던 시즌이라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대출 카드를 다수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버리긴 아깝잖아요. 유니크 아이템으로 친구들에게 나눠줬던 기억이 있네요.

댓글